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 2025년 글로벌 사이버보안 전망 보고서 개요 (WEF Global Cybersecurity Outlook 2025)

발행기관: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 & Accenture
발행일: 2025년 1월

해당 보고서는 2025년 글로벌 사이버보안 환경의 주요 동향, 복잡성 증가 원인, 조직의 보안 대응 방안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 1. 2025년 글로벌 사이버보안 환경 주요 변화

사이버 공간의 복잡성 증가

  • 지정학적 갈등 심화 → 국가 간 사이버전 확대
  • 공급망 복잡성 증가 → 보안 취약점 파악 어려움
  • AI, 클라우드 등 신기술 채택 가속화 → 새로운 보안 위협 증가
  • 규제 요구 증가 → 각국의 보안 법규 및 컴플라이언스 부담 확대

사이버 격차(Cyber Inequity) 심화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보안 역량 격차 증가
  • 선진국과 신흥국 간 보안 투자 및 대응 능력 차이 확대
  • 공공부문은 보안 인력 부족으로 민간 부문보다 취약

사이버 위협 증가

  • 랜섬웨어, 피싱,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 증가
  • AI를 악용한 공격 정교화 (딥페이크, AI 기반 피싱)
  • 공급망 보안 취약점 악용한 공격 증가

📍 2. 주요 사이버 위협 분석

① 지정학적 사이버 공격 및 공급망 위협

  • 국가 간 사이버전 증가 (예: 우크라이나-러시아 충돌로 인한 사이버 공격)
  • 공급망 보안 취약점 악용 → 클라우드, SaaS, IoT를 통한 공격 증가
  • 대기업 54%가 공급망 보안 부족을 가장 큰 리스크로 인식

② AI 기반 사이버 공격 확산

  • 딥페이크 활용 피싱 공격 급증
  • AI가 자동화된 사이버 공격 수행 (랜섬웨어, 지능형 악성코드 배포)
  • 기업의 AI 도입은 증가하지만, AI 보안 점검 절차 미흡 (37%만 AI 보안 점검 수행)

③ 사이버 범죄의 조직화

  • 랜섬웨어 공격의 서비스화(Ransomware-as-a-Service, RaaS) 증가
  • 사이버 범죄자들이 AI, 머신러닝을 활용해 보안 우회
  • 사이버 범죄와 전통적 범죄조직이 결합, 물리적 피해까지 확대

④ 중요 인프라 보호 위협 증가

  • 에너지, 통신, 금융 시스템 대상 공격 확대
  • 위성, 해저 케이블 등 주요 통신 인프라 공격 증가
  • 사이버 공격이 생명과 안전에도 영향을 미치는 수준으로 발전

📍 3. 사이버보안 대응 방안

1. AI 보안 내재화 및 보안 평가 절차 강화

  • AI 기반 보안 시스템 도입 (AI 탐지·대응 자동화)
  • AI 보안 점검 프로세스 도입 (현재 37%만 AI 보안 점검 수행)

2. 공급망 보안 강화

  •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요구 확대 →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투명성 강화
  • 공급망 내 3rd-party 업체 보안 점검 강화
  • 사이버 위협 공유 협력 체계 구축 (CERT, ISAC 등 활용)

3. 규제 대응 및 글로벌 협력 강화

  • 각국 사이버보안 법규 준수 (NIS2, CIRCIA, GDPR 등)
  • 규제 조화(Global Cyber Regulation Harmonization) 필요
  • 민관 협력 통한 보안 정보 공유 강화

4.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 및 조직 내 보안 문화 확립

  • 보안 인력 부족 문제 해결 위한 글로벌 교육 및 인재 양성 확대
  • 기업의 보안 문화 개선 (정기 보안 훈련, 보안 리더십 강화)

5. 국가 차원의 사이버 위협 대응 체계 구축

  • 국가 중요 인프라 보호 강화 (전력망, 의료, 금융 시스템 보호)
  • 사이버전 대비를 위한 국가 차원의 협력 강화
  •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및 사이버 훈련 확대

📍 4. 결론 및 시사점

📌 사이버 위협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AI, 지정학적 갈등, 공급망 보안 등이 핵심 리스크 요인
📌 사이버보안의 불평등(격차)이 심화되며, 중소기업과 신흥국의 보안 역량 강화 필요
📌 공급망 보안 및 AI 보안 점검이 중요하며, 글로벌 협력과 규제 조화가 필수적
📌 보안 인재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조직 내 보안 문화 정착이 필요
📌 사이버보안은 조직 단위 대응이 아닌 생태계 단위 접근이 필요

🚨 "사이버보안은 조직의 생존과 직결되는 요소이며, 글로벌 협력과 민관 협력이 필수적이다." 🚨

728x90
반응형
LIST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