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작년 8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발표한 미국 NIST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2.0 주요 내용과 시사점을 요약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독과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자동목차

Ⅰ. 개발 배경

CSF 1.0 (2014년)

  • 오바마 행정부가 주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 대비를 위해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CSF 1.0) 개발
  • 주요 요소: 코어(Core), 프로필(Profile), 구현 계층(Tier)으로 구성
  • 정부 및 민간 부문의 사이버보안 개선을 목표로 함

CSF 1.1 (2018년)

  • 트럼프 행정부가 CSF를 연방 기관의 보안 표준으로 채택
  • 적용 범위를 주요 기반시설에서 연방 정부 기관으로 확대
  • 사이버 공급망 위험 관리, 자체평가 항목 추가

CSF 2.0 (2024년 2월 발표)

  • 모든 조직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적용 범위 확대
  • 기존 5대 핵심 기능(식별, 보호, 탐지, 대응, 복구)에 '거버넌스(Govern)' 기능 추가
  • 공급망 보안 및 리스크 관리 강화
  • NIST 웹사이트를 통해 가이드라인, 구현 사례 제공

Ⅱ.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2.0 주요 내용

적용 범위 확대

  • 기존에는 주요 기반시설 및 연방 기관이 대상이었으나, CSF 2.0은 모든 조직이 활용할 수 있도록 변경

핵심 기능 개편

  • 기존 5가지 기능에 ‘거버넌스(Govern)’ 추가 → 총 6개 기능
    • 식별(Identify): 자산 관리, 리스크 평가 등
    • 보호(Protect): ID 관리, 데이터 보안, 플랫폼 보안
    • 탐지(Detect): 이상 징후 분석, 지속적 모니터링
    • 대응(Respond): 사고 대응, 정보 공유
    • 복구(Recover): 사고 복구 계획 및 실행
    • 거버넌스(Govern): 조직의 사이버보안 전략, 정책, 공급망 리스크 관리

구성 요소

  • 코어(Core): 사이버보안 활동을 정의하는 주요 프레임워크
  • 조직 프로필(Organizational Profile): 조직의 현재 및 목표 보안 상태 평가
  • 구현 계층(Tier): 조직의 보안 성숙도를 평가하는 4단계 모델
    • 1단계: 부분 적용, 2단계: 위험정보 활용, 3단계: 반복적 위험관리, 4단계: 적응적 관리

온라인 지원 도구 제공

  • NIST 웹사이트에서 CSF 가이드, 구현 사례, 퀵 스타트 가이드 제공
  • 중소기업도 쉽게 CSF를 도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제공

Ⅲ. 사이버보안 위험정보 공유체계 및 통합 개선

위험 관리 정보 공유 강화

  • 조직 간 사이버보안 정보 공유를 활성화하여 리스크 대응 역량 강화
  • 조직의 목표 및 전략 방향을 경영진, 관리자, 실무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구조화

기업 위험 관리(ERM)와의 통합

  • CSF 2.0을 기업 위험 관리(ERM) 프로세스와 연계하여 활용 가능
  • AI 위험관리, 공급망 보안, 개인정보보호 프레임워크와 통합 가능

국내 정보보호 프레임워크와 비교

  • ISMS/ISMS-P, 클라우드 보안 인증(CSAP)과 비교 분석
  • NIST CSF는 조직의 보안 수준을 자율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점
  • 국내 ISMS-P, CSAP는 법적 인증 요구가 있는 반면, CSF는 지침 역할

Ⅳ. 시사점

1. 조직의 사이버보안 위험 관리 개선 및 효율화

  • CSF 2.0을 활용해 조직의 보안 성숙도를 평가하고 목표 수준 설정 가능
  •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보안 투자 우선순위 설정 가능

2. 조직의 고유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와의 조화

  • CSF 2.0은 다른 프레임워크(ISMS, ISO 27001 등)와 통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
  • 각 조직의 위험 허용 수준에 따라 맞춤형 보안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

3. 최신 ICT 환경에 적용 가능

  • CSF 2.0은 AI, 클라우드, IoT, OT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
  • 국내에서도 인공지능 등 신기술 대응을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개발 시 CSF 2.0을 참고할 수 있음

💡 결론: CSF 2.0의 의미

  1. 기존 CSF의 한계를 극복하고 적용 대상을 모든 조직으로 확대
  2. ‘거버넌스(Govern)’ 추가로 경영진과의 연계 강화 및 리스크 관리 최적화
  3. 기업 위험 관리(ERM)와 통합 가능, 최신 기술 환경에 적용 가능
  4. 국내 정보보호 인증(ISMS, CSAP)과 비교해 유연한 보안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음

CSF 2.0은 조직의 사이버보안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포괄적이고 유연한 보안 프레임워크로 평가됩니다. 🚀

728x90
반응형
LIST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