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례는 암 환자들의 합병증 및 만성질환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로 국립암센터에서 가명정보를 활용한 우수사례 중 하나입니다. 2021년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활용사례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구독과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1. 가명정보 활용사례 - 의료건강분야암 경험자가 특별히 조심해야 하는 합병증이 있을까?구분내용연구명암환자의 합병증 및 만성질환 예측 연구이용기관국립암센터참여기관국립암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결합정보암환자의 임상자료, 건강보험자료결합기관국민건강보험공단 2. 추진배경 및 필요성최근 조기진단 및 치료기술 발달에 따라 암 생존자의 치료 이후 발생하는 장기적인 합병증과 만성질환 관리를 통한 ‘치료 후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됨암 치료가 끝난 환자가 다른 병원을 이용할 경우, 단일병원 임상..

이번 포스팅부터는 시리즈로 국내에서 가명정보를 활용한 우수사례들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가명정보가 어떤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는 지 살펴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독과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1. 가명정보 활용 우수사례 - 복지분야국민들이 노후대비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함구분 내용 연구명노후소득보장 종합연구이용기관보건복지부참여기관공공행정안전부, 국세청, 국민연금공단,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공무원연금공단, 국군재정관리단, 국방전산정보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민간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결합정보각 기관 보유 연금정보, 세대 인적정보, 노인일자리정보, 과세정보결합기관국..

가명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것들을 준비해야 하는데요, 그 중에서 서식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서 불이익을 보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명정보 활용 시 사용되는 서식들을 정리하고 해당 서식들이 가명처리 단계 중 어느 단계에서 어떻게 사용되는 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또한 본 포스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아래 포스팅에서 이미 설명했으니 해당 용어정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명정보 관련 용어 및 참고자료가명정보 관련 용어 정리1. 개인정보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와 더불어 해 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jstreambox.tistory.com 구독과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가명처리 단..

주간 IT 뉴스 모음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키워드는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 "정보보호", "블록체인",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순이며, 키워드 당 10개씩 수집해서 공개합니다.또한 포스팅 주기는 매주 월요일 포스팅을 목표로 합니다. 뉴스들은 포스팅 당일 이전 7일간의 뉴스를 모으게 됩니다.놓치신 뉴스가 있는 지 확인해보세요~그럼 많이들 봐주세요~ ^^구독과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9월 4주차(9월 24일 ~ 10월 1일)NoKeywordTitleLinkPressDate1개인정보네이버, '개인정보보호의 날' 기념 특강 진행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930_0002904349뉴시스언론사 선정1일 전2개인정보한국부동산원 "개인정보보호로 안..

가명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28조의2와 제28조의3에 따라 통계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을 위해서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실제 활용 체계도 갖추지 못한 기관이나 기업들이 암묵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실제 아래 뉴스와 같이 부정 활용하다 감사에서 확인 된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출처 : YTN 뉴스 장기이식 정보 38만건 보험사 등에 샜다…보험료차별 악용될라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국가기관이 가지고 있던 장기이식 가명 정보 수십만건이 보험사 등 민간에 허술하게 넘어갔다는 지적이 보건복지부 ...www.yna.co.kr 예전에는 약학정보원에서 개인정보를 부실하게 암호화처리해서 일부 기업으로 유출한 사례가 있었습..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을 위협하는 요소들을 정리해 봤습니다.여러분들의 "구독"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1. 51% 공격51% 공격은 블록체인의 합의 메커니즘, 특히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입니다. 네트워크의 과반수(51%) 이상의 해시 파워(연산 능력)를 통제하는 공격자가 생기면, 이 공격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악의적인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가능한 행동: 자신에게 유리한 트랜잭션을 승인하거나, 이중 지불(double-spending)을 통해 이미 완료된 트랜잭션을 취소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소규모 또는 해시 파워가 낮은 블록체인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예방 조치: 대형 네트워크(비트코인, 이더리움)..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구독과 공감은 저의 가장 큰 원동력입니다.1. 정의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안전하고 투명하게 저장하는 분산 원장 기술입니다. 각 데이터가 '블록'에 저장되고, 이 블록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체인'을 형성합니다. 이때, 각 블록은 암호화되어 있으며, 이전 블록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체인 전체가 보안성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관리자가 필요 없이,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구성원이 정보를 공유하고 검증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2. 블록체인 기술블록체인의 핵심 기술은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Technology)과 암호화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통해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 없이도 네트워크 참..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명정보에 대해 각 분야별로 자주하는 질문들을 모아서 정리했으니 가명정보를 활용하는 기관/기업에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일반분야(공통)Q1. 개인정보처리자가 수집한 개인정보를 가명처리 목적으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지?결론 : X이유 : 개인정보를 가명처리 없이 일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일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보주체로 부터 별도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개인정보 보호법 제22조Q2. 개인정보처리자가 수집한 개인정보를 가명정보 처리 목적으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수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지?결론 : O이유 : 제3자 제공과 위탁의 경우는 완전 다릅니다. 제3자 제공은 내부에서 외..

양자암호화(Quantum Cryptography)는 양자역학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암호화 기술로, 기존의 암호화 방식보다 훨씬 더 높은 보안성을 제공합니다. 양자암호화는 특히 양자 키 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기술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해커가 데이터를 도청하려는 시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매우 안전한 방식입니다.1. 양자암호화의 주요 원리양자 중첩(Superposition): 양자는 여러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 정보가 0과 1을 동시에 표현될 수 있습니다.양자 얽힘(Entanglement): 두 개의 양자가 얽힌 상태에 있으면, 한쪽의 상태가 변할 때 다른 쪽도 즉시 변하게 되는 현상을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장거..

하이브리드 암호화(Hybrid Encryption)는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의 장점을 결합한 암호화 방식입니다. 각각의 방식이 가진 단점을 보완하고,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암호화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1. 하이브리드 암호화의 개념대칭키 암호화는 하나의 키로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매우 빠르고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적합하지만, 키 교환에서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비대칭키 암호화는 공개키와 개인키 두 개의 키를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하지만,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이 느리기 때문에 대량 데이터 처리에는 비효율적입니다.하이브리드 암호화는 이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여, 비대칭키 암호화로 대칭키를 안전하게 공유한 뒤, 대칭키 암호화로 실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입니..